
작가노트(2025)
나는 정리정돈을 좋아한다. 작년 말부터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침구를 가지런히 개며 하루를 시작하고 있다. 책상 위 물건들은 일정한 위치로 되돌아가야 마음이 놓이고, 집에 들어오자마자 옷걸이에 옷을 걸어 놓아야 한다. 일상의 작은 규칙. 습관일까, 강박일까? 아주 어렸을 때부터 ‘원래 있던 자리에 돌려놓는 것’에 꽤 집착했던 것 같다. 본가에 있는 TV 장 위에 흰색 벽걸이 선반이 달려 있는데, 그곳엔 항상 나의 애착 물건들이 쌓여져 있었다. 잠들기 전엔 꼭 선반 위에 물건을 되돌려놓고, 그것들이 각자의 자리에 있어야만 마음이 편했다. 가끔 휴대폰 갤러리로 들어가 불필요한 사진을 정리하기도 한다. 이것은 단순한 정돈인 동시에 어지럽혀진 감각과 시간을 다시 구조화하는 일처럼 느껴진다.
정리의 과정에선 늘 예상치 못한 ‘틈’이 생긴다. 예컨대 많은 사람들은 정리정돈을 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레 추억여행을 떠난다. 아무런 짐도, 마음의 준비도 없이 갑자기 떠나는 여행이다. 과거의 기억이나 감정을 떠올리며 추억을 되새긴다. 언제 누가 찍었는지 모를 과거의 나를 사진 속에서 발견했을 때 그 안의 나는 내가 기억하는 나와 조금, 어쩌면 완전히 다르다. 기억하지 못하는 내 모습은 오히려 새로운 이야기처럼 말을 걸어온다. 그 틈새에서 나는 작업의 실마리를 발견한다. 그래서 나는 종종, 기억이란 무엇인지 고민하게 된다. 언제나 불완전하고 유동적인 것. 떠올리려 할수록 달라지고, 재구성되며, 때로는 깊이 잠긴 채 닿을 수 없는 것이 되는. 나는 과거의 한 시점에 머물러 있던 단순한 기록을 오늘의 시선으로 다시 바라보며, 그 안에서 왜곡되고 뒤섞인 감각들을 포착한다.
작업은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나’를 되짚는 일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재현이 아니다. 오히려 그때의 나에 대한 허구적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과정에 가깝다. 하나의 몸에서 여러 개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그 목소리들은 서로 어긋나고 충돌하기도 하지만, 결국엔 기억과 진실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전혀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성큼 다가온다. 결국 내가 주목하는 것은 기억과 허구가 만나는 지점, 그리고 그 틈에서 솟아나는 낯섦이다. 작업의 주요한 모티브가 되는 나의 과거 사진, 과거의 이야기는 질문을 던지는 매개로 작동한다. 지각하지 못하였던 서사를 다시 끌어내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나에게 있어 이 모든 일련의 과정들은 어떤 진실을 말하고자 하는 행위가 아니라, 기억이 진실이 되어가는 과정을 관찰하는 일이다. 그 과정 속에서 나는 나를 다시 구성하고, 작은 조각들을 엮어 하나의 장면이 되도록 붙잡는다. 그 장면은 언젠가 또 다른 기억 속에 스며들 것이다. 늘 그랬듯이.
Artist Statement(2025)
I like to be tidy. Since the end of last year, as soon as I wake up in the morning, I have started my day by folding my bedding neatly. Things on my desk have to go back to a certain position to be relieved, and I have to hang clothes on the hanger as soon as I come home. Small rules of daily life. Is it a habit or an obsession? I think I was quite obsessed with "putting it back where it was" since I was very young. There are white walled shelves above the TV set at my home, where my attachments were always piled up. I always felt at ease when I put things back on the shelves before I went to sleep and had them in their respective places. Sometimes I go into my phone gallery and organize unnecessary photos. This feels like a simple arrangement and at the same time restructuring my dizzy senses and time.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re is always an unexpected 'gap'. For example, many people suddenly go on a trip to memory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It is a trip that suddenly leaves without any luggage or preparation of the mind. I reminisce about memories or emotions of the past. When I find myself in a picture of the past that I don't know when and who took it, the me in it is a little, mayb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ne I remember. Rather, my appearance, which I cannot remember, talks to me like a new story. In that gap, I find clues to work. So I often wonder what memory is. Something that is always incomplete and fluid. The more I try to think of it, the more it changes, reconstructed, and sometimes deeply locked and unreachable. I look back at the simple record that remained at one point in the past with today's gaze, and capture the distorted and mixed sensations in it.
The works begins with looking back on 'the self I don't remember'. But it's not just a representation. Rather, it is more of a process of creating a fictional story about me at that time. Multiple voices are heard from one body. They sometimes deviate and collide with each other, but in the end, they break the boundary between memory and truth and come to us in a completely different form. In the end, what I pay attention to is the point where memory and fiction meet, and the unfamiliarity that rises out of the gap. My past photos and stories, which are the main motifs of the work, act as a medium to ask questions. It becomes a passage for bringing out an unrecognized narrative again. For me, this whole series of processes is not an act of telling any truth, but observing the process of memory becoming truth. In the process, I reorganize myself and weave small pieces together to become a scene. The scene will someday permeate into another memory. As always.